320x100
2025 청년 육아 정책: 휴직, 급여 새롭게 바뀐점 👼
2025 청년정책! 출산과 육아를 고려하는 청년들을 위한 보육·돌봄 지원 정책이 대폭 강화되었습니다.
1. 육아휴직 급여 인상
2025년 1월 1일부터 육아휴직 급여가 대폭 인상되며, 총 급여액이 1,800만 원 → 2,310만 원으로 증가합니다.
지원 내용
- 육아휴직 12개월 시 최대 급여
- 1~3개월: 월 최대 250만 원
- 4~6개월: 월 최대 200만 원
- 7~12개월: 월 최대 160만 원
특례 지원
- 한부모 가정: 첫 3개월 동안 월 최대 300만 원 지원.
- 중소기업 근로자: 육아휴직 대체인력 지원금 신설 및 상한 120만 원으로 확대.
📌 신청 방법: 고용 24 누리집
2. 육아휴직 기간 연장
2025년 2월 23일부터 육아휴직 기간이 확대됩니다!
변경 전후 비교
- 기존: 최대 1년
- 변경 후: 최대 1년 6개월
- 부모 각각 3개월 이상 육아휴직 사용 시 적용.
- 한부모 가정 및 중증장애아동 부모도 최대 1년 6개월까지 가능.
📌 신청 방법: 복지로
3.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확대
2025년 2월 23일부터 근로시간 단축 적용 범위가 확대됩니다.
- 자녀 연령
- 기존: 8세(초등학교 2학년) 이하
- 변경 후: 12세(초등학교 6학년) 이하
- 사용 기간
- 기존: 최대 2년
- 변경 후: 최대 3년 (1년 + 육아휴직 미사용 기간 × 2)
📌 신청 방법: 고용노동부
4.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
2025년 2월 23일부터 배우자 출산휴가가 확대됩니다.
변경 내용
항목 2024년 2025년 변경 후
휴가 기간 | 10일 | 20일 |
사용 기한 | 90일 이내 | 120일 이내 |
분할 사용 횟수 | 1회 | 3회 가능 |
📌 신청 방법: 고용노동부
5. 신생아 특례 대출
출산 후 주택 마련이 필요할 경우, 디딤돌 대출·버팀목 대출 소득 요건이 완화됩니다.
대출 상세 조건
구분 디딤돌 대출 버팀목 대출
대상 | 출산 후 2년 이내 무주택 세대주 | 출산 후 2년 이내 무주택 세대주 |
소득 요건 | 부부 합산 연소득 1.3억 원 (맞벌이 2억 원) | 부부 합산 연소득 1.3억 원 (맞벌이 2억 원) |
순자산 기준 | 4.88억 원 이하 | 3.37억 원 이하 |
금리 | 연 1.6%~4.3% | 연 1.1%~4.1% |
대출 한도 | 최대 5억 원 | 최대 3억 원 |
대출 기간 | 최대 30년 | 최대 12년 |
📌 신청 방법: 기금e든든
6. 출산·육아 가구 주거지원 확대 🏡
2025년부터 출산가구를 위한 주거 지원이 더욱 강화됩니다.
- 공공임대 주택 공급량 확대
- 연간 12만 호 이상 공급 예정.
- 2세 미만 출생가구 최우선 공급 신설.
- 매입임대 신혼·출산가구 지원
- 2024~2025년까지 6.1만 호 공급.
- 신혼부부 특별공급 요건 완화
- 출산가구 대상 청약 1회 추가 기회 부여.
- 신혼 특공 시 청약 신청자의 결혼 전 청약 당첨 이력 제외.
- 무주택 조건 완화: 입주 모집 공고 시점만 충족하면 가능.
📌 신청 방법: 청약HOME
결론: 부모가 된 청년들을 위한 2025년 지원 정책을 놓치지 마세요!
2025년에는 출산과 육아를 지원하는 정책들이 대폭 확대되었습니다.
✅ 육아휴직 급여 인상
✅ 배우자 출산휴가 20일로 확대
✅ 신생아 특례 대출 지원
✅ 출산가구 맞춤형 주거지원 강화
이 정책들을 적극 활용하여 더 안정적인 육아 환경을 만들어 보세요!
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! 😊
320x100
'청년지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 청년정책 : 졸업, 취업, 창업, 지원금 필수 꿀팁 (2) | 2025.01.31 |
---|---|
2025 청년정책: 학비·생활비 지원 총정리 (2) | 2025.01.30 |
2025 청년 주거·금융 지원 정책 총정리 (0) | 2025.01.28 |
2025 청년정책: 놓치면 아쉬운 생활·복지 지원 총정리 (0) | 2025.01.28 |
2025년 청년도약계좌: 조건, 혜택, 신청 방법 총정리 (0) | 2025.01.27 |